축제가 예산낭비만 먹는 하마인가?

절구통

예전의 축제가 지역의 공동체의식 강화와 지역적 통합 오락성에 그 의미를 두었다면 요즘 축제는 지역문화를 풍요롭게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번에 열린 홍제1동 “장미축제”를 보면서 서울문화예술대학교가 홍제1동에 없었더라면 아마 “장미축제” 는 열리지 못했을 것이다. 요즘 축제는 단순히 구경하고 보는 축제에서 참여하고 경험하는 축제 만들기가 해답이다. 그래서 서울문화예술대학교에서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빌려 행사를 진행한 걸로 안다.
지역 축제는 주민 손으로 오랜 기간을 거쳐 자생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 홍제1동 장미축제는 관(官)주도로 급조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제1회 홍제동 장미축제는 최대한 규모를 키우려하고, 이웃 동네가 축제를 하니까 우리도 해야 한다는 일종에 경쟁심까지 작용해 부실 축제가 양산된 꼴이다.
축제는 다른 곳에 없는 장점을 살리고 독특한 문화를 육성하는 쪽에 무게 중심을 두어야 한다. 이번 홍제1동 “장미축제”를 보고 있노라면 장미는 없고, 축제 자체가 어느 동에서 하든 그런 축제가 아니고 무엇이 다르다는 걸까? 홍제1동만이 특색있는 그런 축제를 원하는 대다수의 주민이다.
규모는 작더라도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콘텐츠가 있는 축제”가 바로 홍제1동 주민이 원하는 축제일 것이다.
참여한 주민들은 흥취(興趣)를 느끼고, 차려진 성찬(盛饌)을 돈으로 사먹으면서도 축제가 즐거우면 누가 할말을 할까. 그렇지 않고 축제가 축제답게 진행되지 앉으니 돈으로 시먹은 성찬값이 얼마나 아까울까 생각해 보길 바란다.
불볕 더위를 무릅쓰고 앉아 있는 내빈들과 주민들이 무슨 죄를 적기에 차도를 막고 굿판을 벌린 의도가 의심스럽다. 제1회 홍제동 장미축제는 1회성으로 끝났으며 하는 바램이다.
살펴보면 각 주민센터 별로 축제 판을 비슷한 시기에 고만고만한 축제가 열린다. 그러나 이번에 열린 홍제동 장미축제는 좀 다른 측면도 있다. 처음 열린 축제라서 주민의 기대치가 컸으나 떨어질 수밖에 없는 여건이었다. 더욱이 문제는 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보다는 지역정치인들의 생색내기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 예산을 때론 정치인과 그렇지 못한 정치인들의 차이는 고사하고 그저 정치인들이 나누어 먹기 식에 주민의 혈세가 중복 및 반복해 집행한다는 지적도 많다.
팔아먹을 것이 부족한 홍제1동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또한 그로인해 돈을 거두어 들일만한 준비가 안된 곳,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절대 부족한 홍제1동에서 더 말할 나이 없다. 고만고만하고 좁은 서대문구에서 무분별한 축제가 너무 많은 것도 지적의 대상이다.
축제는 단순히 주민을 결속하고 소통의 장으로 활용할 수가 있기에 때론 필요할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급적 일회성과 특히 소모성 돈을 매년 쏟아 부어야 하는 축제가 지양되어야 한다는 것은 대다수 주민의 생각이다. 가장 하이라이트는 지역민에소통과 화합도 충요하지만 먹고 사는 문제 즉 주민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얼마나 근접해 나는가가 핵심이라고 말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서대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