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나는 무아(無我)다

착한 행위를 하면 착한이가 되고, 나쁜 짓을 하면 나쁜 놈이 된다. 결국 고정된 나가 없기에 어떠한 나도 만들 수 있으며, 이것이 그것이다. 참 나를 무아(無我)로, 무아는 대아(大我)이며, 대아는 시아(是我)다.
첫째는 무아(無我)다. 무아체험의 핵심은 대면 관찰이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거울 보듯 영화 보듯 강 건너 불구경하듯 대면해서 관찰한다. 걸어가면 ‘걸어간다’, 머무르면 ‘머무른다’, 앉았으면 ‘앉아 있다’, 누웠으면 ‘누워 있다’고 관찰한다. 화가 나면 ‘화가 난다’, 걱정 근심이 일어나면 ‘걱정 근심이 일어 난다’고 관찰한다.
늙어 가면 ‘늙어간다’, 병이 들면 ‘병들었다’. 죽어 가면 ‘죽어간다’고 관찰한다. 몸과 마음 변하여 일어나고 사라지나 관찰자는 여여부동 늙고 죽음 초월한다.
이 관찰자가 바로 성품이 대아(大我)다.
둘째는 대아(大我)다. 대아는 크고 밝고 충만하다. 마치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차를 몰때 윈도우 부러쉬가 바로 눈앞에서 왔다 갔다 해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처럼, 대아는 초점을 맞추다보면 소아는 저절로 쉬어간다.
셋째는 시아(是我)다. 이것이 나다. 바로 지금 여기서 이것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보이는 것을 보기만 하고, 들리는 것을 듣기만 하고, 느끼는 것을 느끼기만 하고, 아는 것을 알기만 할뿐, 거기에 나는 졸리면 잠잔다. 밥 먹을 땐 밥 먹을 뿐! 잠 잘땐 잠 잘뿐! 공부할 땐 공부할 뿐! 일할 땐 일할 뿐! 노래할 땐 노래할 뿐이다.
바로 지금 여기에서 나의 행위가 나를 창조한다. 구걸하는 마음 연습하면 거지·종이 되고, 베푸는 마음 연습하면 부자·주인이 된다. 별빛과 어우러져 여름밤을 아름답게 수 놓았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서대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