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숨은 주역을 재조명하다

서울지방보훈청 홍보담당
오 제 호
1차 세계대전 전승국 식민지에서 일어난 최초의 대규모 독립운동인 3.1운동은 독립운동사를 대표하는 쾌거이다. 현재까지 독립유공자로 서훈된 15,180명 중 약 33.4%에 해당하는 5,070명이 3.1운동으로 포상되었다는 사실은 3.1운동이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준다. 이 5,070명 중에는 민족대표 33인, 유관순 열사와 같이 익히 알려진 분들이 많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도 적지 않다. 물론 방대한 3.1운동사 전부를 기억할 수는 없지만, 지금보다는 더 재조명되었으면 하는 분들 혹은 그러한 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3.1운동의 배경에는 주로 거론되는 일제의 무단통치, 민족자결주의 제창, 고종의 독살 의혹 외에도, 국제질서를 활용하여 조국독립을 도모했던 신한청년당의 활동도 있다. 비록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독립선언서를 전달하고 파리강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는 등의 활동은 소기의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놀라운 나비효과를 발생시켰다. 외교활동을 위해 세계각지에 구축한 신한청년당의 네트워크는 독립의 열망을 국내외에 전달해, 일본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은 물론 3.1운동을 이끌어낸 숨은 도화선이 되었다.
철저한 준비 끝에 다가온 1919년 3월 1일, 하지만 만세운동을 이끌어야 할 민족대표 33인은 약속장소인 탑골공원 대신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을 낭독했다. 이에 민족대표 33인을 대신하여 탑골공원의 만세운동을 이끈 주역은 당시 학생이던 강기덕, 김원벽, 정재용 선생 등이었다. 만세시위에 참여할 학생들을 규합하고, 독립선언서를 배부하며, 독립선언을 낭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3월 1일 현장에서의 만세운동은 학생들이 주도했다. 3월 5일에는 남대문역 만세운동을 다시 주도함으로써, 체포된 민족대표의 공백을 메우고 1회성 사건으로 가라앉는 듯 했던 3.1운동을 거족적 항일투쟁으로 확산시키는 데 지대하게 공헌하였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서대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