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쓰면 “약” 잘못 쓰면 “독”

 

“술의 공덕은 실로 지궁지대(至窮至大)하여 우리는 이를 슬퍼 마시며, 기뻐 마시며, 분하다 하여 마시며, 봄날이 화창하다 하여 마시며, 여름날이 덥다 하여 마시며, 겨울이 춥다 하여 마신다.”
시인 김진섭은 〈주찬(酒讚)〉이라는 수필에서 술을 노래하며, 술이 우리를 모든 경우에서 건져주고 북돋아주고 조절해주는 이상한 힘을 지녔다고 찬미하였다.
추울 때도 더울 때도 많이 찾는 것이 술이기에 요즘처럼 잠못이루는 열대야에는 술잔을 나누며 더위와 스트레스를 쫒는 이들이 많다.
술은 “잘못 쓰면 약, 잘못 쓰면 독”이 되는 대표적인 예로 꼽히며 성질 또한 물과 불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술”에서 비롯되어 단음의 “술”로 축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술을 빚을 때 효모의 작용으로 거품이 생기며 끓어오르는 현상을 보고 “불기운을 품은 물”이라 생각할 법이기 때문이다.
술을 마셨을 때 열이 나고 몸이 뜨거워지는것 또한 술이 지닌 불의 성질이 아닌가.
물은 정적이고 높은 데서 나서 낮은 데로 흐르지만 불은 동적이고 위로 발산하는 성질이 있어, 술에는 정(靜)과 동(動), 하강과 상승의 대립하는 음양의 기운이 함께한다.
따라서 적당한 음주로 두 기운이 조화를 이룬다면 몸을 따뜻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왕성케 하여 약이 될 것이요, 과음과 폭음으로 조화를 잃는다면 명을 재촉하는 독이 되게 마련이다.
몸에 미치는 술의 이치는 인간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주도를 지키는 음주는 인간관계를 따뜻하게 만들고 원만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지만, 주도를 잃는다면 점차 사람들과 단절되고 고립될 것이다.
고려의 명문장가 이규보(李奎報)는 “고려 이태백”이라 불릴 만큼 술을 즐긴 인물로 꼽힌다. 그는 “술이 없으면 시도 무의미하고, 시가 없는 술은 물리쳐도 무방하지”라고 노래하며 술을 주제로 한 시를 수없이 남겼다.
자유로운 조선의 사상가 김시습 또한 “술이 있으면 근심은 이내 깨어지고 시 없으면 말로는 잘 표현할 수 없네”라고 노래하는 등 내로라하는 수많은 인물들을 술과 떼어 놓을 수 없으니 시대의 사상과 문학이 꽃피는 데 술의 공덕 또한 지대할 듯하다.
계율에 얽매이지 않았던 조선중기의 진묵선사는 술이라 하지않고 곡차(穀茶)라 부르며 즐겨 마셨는데, 비난하는 이들에게 “쌀과 누룩으로 만들었으니 곡차 아닌가.
세속인들은 취하기 위해 마시니 술이겠지만 나는 피로가 풀리고 기분도 상쾌해지니 그저 곡차인 것이다”라고 답하곤 하였다.
또 “굽을 곡(曲)”자를 써서 곡차(曲茶)라 부르는가 햐면, 근심을 잊게 해준다 하여 망우물(忘憂物), 지혜의 물이라는 뜻의 반야탕(般若湯)이라는 별칭도 있다.
더위가 극성을 부릴수록 술 판매량이 늘어나고 밤늦게까지 술의 힘을 빌려 고성방가하며 크고 작은 시비가 일어나는 것도 여름에 집중되어 있다고 한다.
삼복더위 한가운데서 마시는 여름 술은 땀을 많이 흘려 더 빨리 취하게 된다. 역사 속의 법력 높은 스님들이 술을 술이라 하지 않고 곡차라 여기며 마셨던 것은 단지 말장난이 아니라 술이 지닌 독을 능히 다스릴 수 있기 때문이었다. 술이 필요악인지는 알 수 없지만 마셔야 한다면 곡차의 의미로 새겼던 옛 스님들의 곡차다도를 본받을 만하다.

 

 

저작권자 © 서대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