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없어서는 안 되는 말, 그 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진다.
 가슴속 깊이 감추어져 있는 마음은 형체가 없어 보이진 않지만 눈빛과 얼굴빛, 그리고 말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 마음이 가장 확실하게 나타나는 것은 말입니다. 말은 마음이 몸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 
말이 거친 사람은 마음이 불선(不善)하고 무례(無禮)한 사람이며, 마음이 불선한 사람은 말이 거칠고 무례하며 또 오만하다.
 거친 말이란 〈천수경〉에 나와 있듯이 남을 속이는 거짓말인 망어(妄語), 남을 꼬드기고 부추기는 기어(綺語), 이 사람에게는 이렇게 말하고 저 사람에게는 저렇게 말하여 이간질하고 모함하는 양설(兩舌), 남을 비방하고 저주하고 욕하는 악구(惡口)를 말한다. 마음을 닦으면 말이 부드럽고 진실해지듯이 말을 진실되고 부드럽게 하면 마음이 맑고 향기롭게 됩니다. 말을 부드럽게 하려면 말에 든 가시를 뽑아내야 합니다. 
가령 가난한 형제가 도움을 요청했을 때 ‘자네 형편은 딱하지만 지금 나에겐 그럴 여력이 없어 미안하구나’라고 말하면 가시가 없는 말이다.
그러나 상대가 좀 섭섭할 수는 있지만 원망하는 말은 품지 않았다. 그런데 ‘넌 왜 늘 남에게 구걸하는 거지근성을 가졌어! 남이 돈 모을 때 넌 손을 묶어 뒀어’라고 말하면 시퍼렇게 날선 가시가 있는 말이다. 
그래서 상대방은 마음에 큰 상처를 입고 원망하는 마음이나 심하면 앙심을 품을 수 있다.
〈명심보감〉에 이르기를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뜻하기가 솜과 같고, 사람을 해치는 말은 날카롭기가 가시와 같이 칼로 베듯이 아프다’고 했다. 
또한 말은 재앙과 근심의 문이며, 자신을 죽게 하는 도끼라고 했다. 이처럼 거친 말은 나와 남을 함께 죽인다. 〈천수경〉의 맨 처음 하는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이 들어있는 것도 말로 짓는 죄가 중차대하기 때문일 것이다.
거친 막말이 범람하는 사회는 불선(不善)하고 불의(不義)한 사람들이 많은 사회다. 반면에 부드럽고 따뜻하고 남을 배려하는 말이 많이 오가는 사회는 인의(仁義)가 지켜지고 자비심이 강물처럼 흐르는 사회다.
 말을 번다하게 하다보면 아무래도 하지 말아야 할 말까지 하게 된다. 또 상대방의 환심을 사려 비단같이 꾸미기도 한다. 마음에 잡념을 끌어들이지 말라는 것이다.  걱정하지 않아도 될 일을 공연히 걱정하고 상관하지 않아도 될 일에 관여하여 시비 중에 들기도 한다. 우리는 말 많은 세상에 살고 있다. 
 정치인은 국민의 거울이다. 그러므로 정치인은 그 말이 부드럽고 진실하고 무게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치인들의 말이 거칠고 경망스럽기도 하다. 그러나 정치가 국민의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분열을 조장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각종 매스컴도 국민의 말씨에 엄청난 영양을 미친다. 그런데도 거칠고 자극적이고 저질스러운 용어를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부지불식간에 국민들의 심성과 말씨를 거칠게 만들고 있다. 부드럽고 진실한 말 한마디! 이것이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삶에도 엄청나게 긍정적인 영양을 미치게 된다.

저작권자 © 서대문자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